태권도 반세기
각론 되는 바와 같은 엄연한 사실 때문에 견강부회(牽強附會)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태권도 역사가 재정립되어야 합니다. 태권도를 유구한 5000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 고유의 전통 무도(예)라고 주장하는 것은 정보통신(IT) 사회인 현 시점에서는 허구입니다
발전(세계화)이란 명분을 내세워 앞만 보고 달려 왔다면 이제는 내실을 다져야 합니다. 모방도 창조입니다. 가라테를 모체로 근대 무술로 시작된 태권도가 스포츠라는 성격으로 세계화된 것 그 자체로 태권도는 우리의 것이 분명한 것입니다.
이제는 세계화된 태권도가 태권도 본연의 모습인 무도(태권도)로서 새롭게 태어나 무도태권도로 다시 세계화된 태권도(무도)의 진면목을 보여야 합니다.
총 68회에 걸쳐 '관을 중심으로 살펴본 태권도 형성사','태권도 반세기','태권도 現代史', '노병직 관장의 친필 서한'을 참고로 해방과 더불어 태동돼 현재에 이른 태권도의 근대사를 재구성(편집)해 각론 합니다.
갈등 및 분열 신흥관 할거와 대한공수도협회 분열
초창기 태권도(공수도)계는 청도관(이원국), 무덕관(황기), 조선연무관(지도관), YMCA권법부 (윤병인), 송무관(노명직)등 5대 기간도장 창설자들 중 이원국은 일본으로 밀항, 황기는 협회(공수도협회) 이탈, 윤병인은 월북(행방불명)등 창설자들의 부재로 구심점을 잃자 신흥관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습니다.
1950년대 중반부터 정도관, 한무관, 오도관, 강덕원, 국무관, 청룡관, 무덕관, 지도관, 창무관, 흥무관 등 모체관(母體館)에서 갈라져 나온 신흥관(新興館)들이 할거하면서 관(館)사이에 파벌이 조성되면서 태권도계는 갈등(반목)이 시작됩니다. 태동기 5대 기간도장이 9개 신흥관과 군소 도장으로 분열되었습니다. 9개 신흥관에 대해서는 차후 관의 종류에서 집중적으로 각론 하도록 하겠습니다.
천자의 권위가 약화돼 제후들이 나름의 패권을 주장하던 중국의 혼란기인 춘추전국시대처럼 태권도도 초창기(태동기)에는 5개 기간도장이 태동하고 5개 기간도장이 분열하여 관들(도장)이 난립하다가 청도관, 무덕관, 조선연무관, 창무관, 송무관, 오도관, 강덕원, 한무관, 정도관 등 9개 계열관으로 정리가 됩니다. 그 상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무순).
청도관 해방직후 창설된 5대 기간도장 중 가장 먼저 창설된 청도관은 창설자인 이원국(李元國)이 1944년 9월 15일 서대문구 옥천동에서 '당수도'라는 이름으로 개관을 하였습니다. 청도관의 분관(分館)으로는 인천을 중심으로 한 강서종의 국무관(國武館), 서울 서대문구를 기반으로 한 이용우의 정도관(正道館), 광주 고재천의 청룡관(靑龍館), 최홍희의 오도관(吾道館)등으로 분열(관?)이 되었습니다.
무덕관 무덕관(武德館)은 해방 직후 서울 용산에서 황기(黃琦)에 의해 '운소부우회 당수도부'로 출발(1946년 이후)했습니다. 그 후 1955년 서울역 부근에 무덕관 중앙본관을 신설하고 전국에 9개 지관을 신설하고 1953년‘대한당수도협회(大韓唐手道協會)’로 다시 대한수박도회(大旱手博道會)로 명칭을 바꿉니다. 무덕관은 5대 기간도장 중 관세(館勢)가 가장 컸습니다.
조선연무관(지도관) 지도관은 1946년 3월 3일 전상섭에 의해 '조선연무관공수도부'으로 출발하였습니다. 조선연무관 공수도부는 서울에서 태동했지만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발전은 전북 전주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지도관의 대표적인 분관은 이교윤의 한무관입니다. 한무관의 뿌리에 대한 정통성 시비는 이교윤 관장이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한무관의 뿌리는‘지도관’이 아니라‘조선연무관’이라 것으로 당시 조선연무관이 지도관으로 개칭되는 과정과 관련하여“정통성시비”문제가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창무관 창무관(彰武館)은 조선연무관에서 전상섭과 함께 무도를 가르치던 윤병인(尹炳仁)에 의해 1946년 서울 종로에 위치한 기독교 청년회관(YMCA)에서 'YMCA권법부' 라는 이름을 창설되었습니다. YMCA권법부는 전쟁이 끝나자 이남석, 김순배가 주축이 되어‘창무관’으로 명칭을 바꾸며(개칭) 이남석(2대), 김순배(3대) 관장과 뜻이 맞지 않았던 홍정표, 박철희에 의해 1956년 ‘강덕원(講德院)’으로 분열(관)합니다.
송무관 송무관은 1946년 노병직(盧秉直)에 의해 개성 송악산에서 개관을 하였습니다. 송무관은 5대 기간도장 중 관세가 가장 미약하였습니다. 모체관 중 내부분열을 일으키지 않은 모체관은 송무관이 유일합니다.
오도관 오도관은 군(軍) 장성 출신 최홍희(崔泓熙)와 부관 남태희(南太熙)의 합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의‘국기태권도’휘호를 받아낸 1955년을 기점으로 태권도를 전군(全軍)에 보급시키겠다는 명분으로 당수도장이란 명칭을 태권도장으로 바꾸고 태권도를 수련하는 장병들이 경례를 할 때는 '태권'이란 구호를 외치도록하고 월남전쟁으로 1960년대 초부터 태권도교관 단을 파견한 것을 계기로 오도관은 민간도장과 차별화를 시도하면서 관세(館勢)를 확장시켜 나갔습니다. 오도관은 최홍희가 국제태권도연맹을 창설한 후 일탈행동(?)을 하면서 급격히 관세가 약화(퇴조)됩니다.
강덕원 강덕원은 전쟁이 끝난 뒤 1956년 YMCA권법부에서 수련한 홍정표와 박철희 두 사람에 의해 창설되는데 초대 관장은 홍정표가 맡았습니다. 강덕원이 창설된 근본적인 배경은 YMCA권법부 창설자인 윤병인 관장이 납북된 이후 권법부를 재건하려던 이남석, 김순배와의 갈등으로 파생되었습니다. 강덕원은 1950년대 중반에 창설된 신생관(新生館)으로서 규모(관세)는 그리 크지 않았습니다.
한무관 한무관은 1956년 8월 이교윤 관장이 창설한 관으로 1950년대 중반부터 생기기 시작한 신생관의 선두주자라 할 수 있습니다. 이교윤은 한무관이 지도관에서 갈라져 나온 것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조선연무관’관장이었던 전상섭이 한국전쟁 때 행방불명(납북)돼 조직체계가 흐트러지면서 이종우가 지도관을, 이교윤이 한무관을 개관했다고 주장 합니다. 따라서 한무관의 뿌리는 지도관이 아니라 ‘조선연무관’이라는 것이 이교윤의 주장입니다.
정도관 정도관은 전쟁 직후인 1954년 정도관 출신 이용우에 의해 서울 서대문 로터리에 개관되었습니다. 정도관은 모체관인 청도관과 마찰 없이 관을 개설했다는 것이 다른 신흥관의 파생과정과 다른 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신흥관의 할거와 관련해 주목해야 할 것은 군세(軍勢)를 등에 업은 오도관(吾道館)의 출현입니다. 오도관의 출현은 가뜩이나 혼미스런 태권도(공수도)계를 더욱 복잡 미묘하게 만들었습니다.
오도관 창설자 최홍희는 1950년대 중반이후 육군 소장이라는 배경과 가라테를 먼저 시작했다는 상황에서 태권도계 전위(前衛)에 뛰어들어 태권도계 통합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런 상황은 민간도장 관계자들에게는 큰 부담(위협)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최홍희는 초창기 태권도협회를 구성(출범)하는데 있어 공수도, 수박도, 화수도, 권법등의 명칭이 난립하자 우리의 전통성에 바탕을 둔 명칭을 부관인 남태희와 같이 연구해 '태권도'란 명칭을 공표했으나 절대적인 공감대를 이끌어 내지는 못했습니다.
이런 와중에 ‘대한공수도협회’는 와해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협회 발기인이었던 황기가 독자적으로 ‘당수도협회’를 만들어 ‘대한공수도협회’ 보다 먼저 ‘대한체육회’에 가입하려는 움직임을 구체화하면서 분열은 가속화됩니다. 무덕관 황기가 대우 문제로 이탈한 데다 1950년대 중반 최홍희가 청도관 명예관장 겸 고문으로 부임하면서 청도관도 이탈, ‘대한공수도협회’는 지도관, 송무관, 창무관만 남게 됩니다.
당시 대한공수도협회의 최대 목표는 대한체육회에 가맹하는 것이었는데, 황기가 독자적으로 당수도협회를 구성해 대한체육회에 가맹을 하자 대한공수도협회 또 한 노병직을 대표로 내세워 대한체육회 가맹을 추진하고 그 과정에서 일대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다음 19부에서는‘태권도란 명칭의 등장’에 관해 각론합니다
태권도정보연구소 / 청호태권도장 / 신성환 관장 태권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http://www.riti.net - 태권도정보연구소
|